memory lane

热度:564

简介

1. 재즈보컬 나윤선의 새로운 만남과 새로운 도전 언제나 새로운 시도로 감상자들을 놀라게 해왔던 재즈보컬 나윤선이 팝 앨범 을 발매한다. 그러나 이번 팝 앨범은 단순히 대중적 인기, 높은 음반 판매를 위한 것이 아니라 그 동안 나윤선이 추구해 온 나윤선식 음악의 연장선상에 놓이는 것이다. 즉, 재즈인이라면 숙명처럼 받아들여야 할 새로움에 대한 도전정신이 나윤선에게 자신만의 감각으로 팝을 노래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이번 앨범 은 재즈 가수의 정체성을 그대로 지키면서도 보다 더 감상자들이 쉽게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노래를 하고자 한 그녀의 도전을 담고 있다. 이런 새로운 도전은 그동안 나윤선의 앨범, 공연들이 그러했듯이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가능할 수 있었다. 이번 앨범도 그 예외는 아니다. 덴마크 출신의 세계적인 피아노 연주자 닐스 란 도키(Niels Lan Doky)와의 만남이 이번 앨범을 가능하게 했다. 닐스 란 도키는 최근 “트리오 몽마르트”를 결성하여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대중 음악을 간결하고 낭만적인 피아노 트리오 음악으로 편곡, 연주하여 국내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지난 2006년 11월 앨범 녹음을 앞두고 있었던 공연에 직접 참여하여 이번 앨범 제작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표시하기도 했는데 이렇게 재즈적 감각과 팝적인 감각을 겸비한 그가 앨범 프러듀싱을 담당했기에 그동안 나윤선의 음악에 내재되어 있었던 부드럽고 낭만적인 측면, 그래서 많은 대중들이 사랑했던 부분들이 성공적으로 앨범에 담길 수 있었다. 닐스 란 도키 외에 앨범에 참여한 연주자들의 면모는 쟁쟁하다. 덴마크 재즈의 리더 매즈 빈딩(Mads Vinding), 드럼 연주자 알렉스 리엘(Alex Riel)와 현 프랑스 재즈를 이끄는 새로운 얼굴인 타악기 연주자 자비에 데상드르 나바르(Xavier Dessandre-Navarre), 자신만의 재즈 바이올린의 경지를 개척했다 평가 받는 디디에 록우드(Didier Lockwood) 등 모두 독자적인 활동으로 유럽에서 인정 받고 있는 특급 연주자들이 나윤선과 호흡하기 위해 스튜디오에 모였다. 이런 세션진의 면모는 그 자체만으로도 많은 감상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킬만할 정도로 화려한 것이다. 그리고 이런 음악적 탄력성을 지닌 1급 세션진이 있었기에 나윤선의 재즈 보컬로서의 정체성은 대중적 측면을 강조한 사운드 속에서도 제대로 유지될 수 있었다. 실제 참여한 연주자들은 짧은 시간 안에 나윤선의 노래를 이해했으며 그녀가 노래하는 곡들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전해진다. 2. 세계를 겨냥한 완성도 높은 앨범 그 결과 이번 은 나윤선이 한국 이전에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해외에서 먼저 인기를 얻었던 만큼 단지 한국의 감상자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다 더 넓은 세계 시장을 겨냥할만하다. 그래서 이번 앨범은 한국어 버전과 영어 버전을 함께 제작했다. 그래서 한국 감상자들에게는 가요 앨범으로 기타 세계 감상자들에게는 팝 앨범으로 다가갈 것이다. 그리도 한국어 버전과 영어 버전 모두를 감상한다면 같은 곡이지만 언어에 따라 색다른 느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세노야” 같은 곡은 영어 버전 앨범에도 한국어 버전으로 실려 있다. 실제 나윤선은 그동안 세계의 각종 무대에서 우리 가곡 “초우”나 민요 “정선 아리랑” 등을 우리 말로 노래하며 오로지 노래에 담긴 정서만으로 관객들을 감동시켜왔다. 따라서 영어 버전 앨범에 담긴 “세노야”의 한국어 버전은 한국적 정서를 세계의 많은 감상자들이 제대로 느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1920년대 서양의 왈츠 곡을 윤심덕이 진혼(鎭魂)적 슬픔을 더해 노래했었던 “사(死)의 찬미, Heart Of Glass”를 나윤선만의 흐느낌으로 다시 노래한 것 역시 “세노야”, “정선 아리랑”과는 다른 차원의 한국적 슬픔을 느끼게 해 줄 것이다. 그 밖에 앨범에는 닐스 란 도키의 곡 외에 일본 최고의 피아니스트로 알려져 있는 사토 마사히코, 김광민, 조동익, 김정렬, 김태수, 하림 등의 한국 작곡가들의 곡들이 담겨 있다. 이 곡들은 모두 타이틀 곡이 되어도 손색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뛰어나고 정서적으로도 매력적이다. 특히 한국어 버전이건 영어 버전이건 한국적 서정미인 동시에 세계 누구나 공감이 가능한 보편적 서정미를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나윤선이 한국인의 목소리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정서를 만들어 낸 것처럼 한국 작곡가들의 존재 또한 외국 감상자들에게 새로운 감수성으로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로 이번 앨범은 한국어 버전과 영어 버전의 합본인 일반판과, 여기에 2006년 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투어 콘서트의 다큐멘터리가 포함된 스패셜 패키지로 출시된다. 투어 다큐멘터리에서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자신만의 음악적 열정을 위해 항상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며 최선을 다하는 나윤선의 인간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3. 나윤선, 그녀의 음악 세계 한편 이번 앨범에는 과거 필리핀 가수 프레디 아길라의 노래로도 국내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이 담겨 있어 흥미롭다. 이 곡을 나윤선이 노래하게 된 것은 어릴 적 그녀가 이 노래를 즐겨 들었고 또한 자주 노래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앨범은 나윤선의 새로운 시도를 담고 있지만 정서적으로는 나윤선의 지극히 개인적인 측면을 담고 있다. 사실 첨예한 현대 재즈의 흐름을 이끌어 가는 진보적 재즈 보컬로 알려진 나윤선이지만 그렇다고 그녀의 음악적 원천이 복잡하고 난해한 구성의 음악에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시절 샹송 콘테스트에서 1등을 했고 1994년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의 선녀 역으로 본격적인 노래 활동을 시작했던 것처럼 나윤선의 음악에는 재즈 외에 기타 대중 음악의 흔적이 담겨 있다. 나윤선의 음악이 전통적인 재즈와는 다른 차원에 머물며 발전을 거듭해 온 것도 그녀가 억지로 미국인만이 가질 수 있는 음악 전통을 흉내 내려 하지 않고 이런 다양한 그녀만의 음악 경험을 그대로 반영했기에 가능했다. 특히 팝 적인 감각을 강조하고 있는 이번 앨범에서 나윤선은 한층 더 직접적으로 개인적이고 순수한 그녀의 내면을 담담하게 공개한다. 마치 유년시절 푸른 하늘을 보며 막연한 비상을 동경했던 어린 소녀의 설렘, 첫사랑의 상큼함과 그 뒤에 남는 눈물 한 방울, 그리고 그런 시간을 거치면서 성숙한 여인으로 성장하는 모습 등 순백의 시정(诗情)이 투명하고 맑은 나윤선의 목소리를 통해 드러난다. 어찌 보면 앨범이 지닌 가장 큰 대중적 매력은 바로 이러한 순수한 감수성의 표현 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이런 솔직함은 분명 자기 복제로 일관하고 있는 현 가요계의 흐름 가운데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유하게 만들 것이다. 4. 새로움을 향한 한결같은 도전 앨범 발매를 기념하여 나윤선은 4월 21일, 22일 양일 간 LG아트센터에서 콘서트를 가질 예정이다. 이 공연에는 앨범에 참여한 닐스 란 도키, 매즈 빈딩, 알렉스 리엘 등의 오리지널 멤버가 그대로 참여할 예정이기에 앨범 발매만큼이나 큰 기대를 갖게 한다. 그리고 이 공연을 시작으로 앨범을 널리 알리기 위한 해외 투어도 계획 중이다. 또한 이 와중에 또 다른 새로운 만남을 예정하고 있다. 바로 세계적인 드럼 연주자 피터 어스카인(Peter Erskine), 프랑스의 여성 하프 주자 이사벨 올리비에(Isabelle Olivier), 프랑스 재즈의 거장인 드럼 연주자 다니엘 위마이르(Daniel Humair)등과 만나 앨범을 녹음할 예정이다. 그리고 현재 그녀가 이끌고 있는 나윤선 퀸텟의 앨범 작업도 계속될 예정이라 한다. 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고 있는 나윤선의 걸음은 쉬지 않고 계속된다.....

Alias memory lane
Extra memory lane
Name memory lane
原始名称 Memory Lane
名称 memory lane
类别 录音室专辑
精选上位词 专辑
语言 韩语
发行时间
  • 2007-03-23
  • 2007-04-10
  • 唱片公司
  • 서울음반
  • loen entertainment
  • 서울음반
  • 收藏数
  • 67
  • 76
  • 歌手
  • 나윤선
  • 나윤선
  • 风格
  • jazz
  • pop